감리교 인물 DB 손메례(孫袂禮, 1885. 11. 19~1963. 10. 5)


여성운동가. 본명 이정규(李貞圭). 세례명 메리(Mary)

서울 계동 양반 가문의 2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남. 부친은 그가 어려서 별세한 것 같고, 양반집 외동딸로 귀하게 자라면서 어머니에게 《열녀전》, 《행실록》, 《제사법》 등 조선 여인이 걸어야 할 평범한 삶의 길에 대해 배우며 소녀 시절을 보냈다.

내방 규중(閨中) 생활을 하고 있던 그는 17세 되던 해 손봉순(孫奉順)과 결혼하면서 삶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손봉순은 그 당시 이미 남대문 안에 있는 상동교회의 독실한 교인이었다. 손메례는 단지 여필종부(女必從夫)의 마음으로 남편이 믿는 기독교를 믿어야 했고, 결혼한 지 3년 만인 1906년 4월 스크랜턴(W.B. Scranton)에게 세례를 받았다. 세례를 받으면서 얻은 메리(Mary)라는 이름과 남편의 성을 따라 부르는 서양식 전통에 따라 그의 이름은 이정규에서 손메리, 혹은 손메례로 불리게 되었다. 일찍이 개화한 남편을 통해 손메례는 상동교회 교인 여메례(余袂禮)가 설립한 진명(進明)여학교에 입학하였고, 진명여학교를 마치고 상동교회 안에서 시작된 감리교여학당(Bible Woman\'s Training School)에 입학하였다. 감리교여학당은 감리교여자신학교의 전신으로, 손메례는 1912년 문알베르토ㆍ박마블ㆍ양우로더와 함께 제1회 졸업생이 되었다. 졸업 후 그는 상동교회에 파송을 받아 교회 청년회 일을 맡아보면서 남대문 밖의 서울 근교 전도부인으로 활약하기 시작하였으며, 자신의 사재를 털어 가면서까지 전도에 열심을 보였다.

\"손메례는 지난 여름에 한 지방으로 갔는데 거기에는 믿는 여인이 한 사람밖에 없었습니다. 몇 달 동안을 그 지방에서 심방하며 열심히 전도한 결과 지금은 상당수 믿는 가정이 생겼고 교회 출석인원도 매주일 30명이 넘고 있습니다. …… 그는 이미 결혼 혼수감의 상당수를 팔았고, 보석도 여럿 팔았습니다. 거기에 자기가 받은 봉급의 대부분을 보태 방 하나를 얻었습니다. 추운 날씨가 닥치면 그곳에서 교인들이 모일 수 있게 만든 것입니다.\"(Annual Report of the Korea Woman\'s Conference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1913)

손메례는 1915년경부터 이화여자보통학교에 나가 성경과 가사를 가르치기도 했다.

손메례의 삶은 1923년 절제회의 설립으로 인해 큰 변화를 겪게 되었다. 기독교여자절제회(Woman\'s Christian Temperance Union)는 1874년 미국에서 시작된 단체로 개신교 여선교사들이 중심이 되어 이 운동을 전개하여 국내에서도 1923년 9월 18일 조직되기에 이르렀고, 한국인들의 절제회 조직의 필요성을 느껴 한국인 중심의 절제회 조직도 추진케 하였다. 그 적임자로 손메례가 추천되었고 그는 세계기독교여자절제회의 파송을 받아 내한한 틴링(C.I. Tinling)과 함께 지방을 순회하며 한국인을 대상으로 강연하고 회원을 모집하기 시작했다. 결국 1924년 8월 28일 한국인들로만 조직된 조선여자기독교절제회가 이화학당에서 창립되었고, 손메례는 총무로 취임하였다. 이후 그의 주된 생활은 전국을 순회하며 절제운동 계몽강연회를 개최하는 것이었다. 금주ㆍ금연ㆍ공창폐지 등을 주제로 한 절제운동을 통해 그는 민중을 계몽하고 민족의 정신을 흐리게 하는 일제의 정신적 문화적 침략에 저항해 나갔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강연회엔 일본인 경찰들이 들어와 강연 내용을 듣고 점검하였다. 한번은 그런 목적으로 강연회에 참석했던 경찰이 강연 내용에 감명을 받고 금주ㆍ단연을 결심하고 선언한 예도 있었다. 신천읍에서 강연회를 열었을 때는 교회 앞에서 술장사를 하며 교회 전도를 방해하던 술집 주인이 금주를 결심하고 술집 처분을 선언했으며, 전주에서는 어린아이를 잠재우는 방법의 하나로 아이에게 아편 주사를 놓을 정도로 부녀자들 사이에 아편이 유행하던 중 손메례의 강연을 듣고 여인들이 아편 금지를 결의하기도 했다. 전국 각지를 순회하며 강연을 한다는 것이 쉬운 일만은 아니었다.

\"조선녀자절제회에서 륙년 동안을 시무하는 가온대 더운 녀름 추운 겨울에 북쪽 끗헤서 남쪽 끗까지 서해안에서 동해안까지 아니 다녀본 곳이 업시 골고로 다니는 가온대 사람의 위험, 물의 위험, 더위의 위험, 폭탄의 위험, 모든 위험을 다 당해 보앗다. …… 그러나 …… 나의 유일하신 희망인 예수를 바라볼 때는 두려울 것이 업고 깃부지 안흘 때가 업섯다. 예수는 나의 희망인 동시에 우리에 2천만 조선민족 전체의 유일절대의 희망이 되신다.\"(손메례, \"깃붐과 예수,\" 〈기독신보〉, 1930. 1. 22)

손메례는 절제회 운동과 함께 여성민족운동 단체인 근우회에도 참여하였다. 1927년 2월 민족의 자주독립을 이념으로 신간회가 조직되자 이에 대한 자매기구로 여성계에서 조직한 민족운동단체가 근우회(勤友會)다. 그러나 근우회는 1929년 조직이 일제의 경찰망에 의해 와해되고 지도자들이 체포되는 사건을 겪으면서 1930년에 해체되고 말았다. 이러한 상황과 맞물려 손메례는 1929년 절제회 총무직을 이효덕(李孝德)에게 물려주고 일선에서 물러나 여성을 위한 실습교육기관인 대성학원, 흥아가정여학원 원장으로 1940년대에 활약하였다. 해방 후에는 경성여자고등기술학교를 설립했다가 1949년에 궁정동에 정명(貞明)여자중학교를 세웠다. 이때 재학생은 3백 50명이었다. 그러나 1950년 6.25전쟁이 터져 학교를 운영하기가 힘들어져서 1952년 학교 재산과 학생을 이화학교 재단인 유하(有廈)학원에 기증하였다. 유하학원은 궁정동에 있는 1백 30평 건물과 5백 41평 토지를 기부받아 그것을 기초로 해서 예술교육 전문학교인 서울예술고등학교를 설립하였다. 그와 함께 손메례는 그 학교의 명예 교장이 되었고 이화학원 명예 이사가 되었다.

해방 후 그는 상동교회 장로로 취임하였으나 말년에 건강이 나빠 가까운 궁정동교회에 출석했다. 여성운동가로 활동하는 데 커다란 밑거름이 되었던 남편은 1947년 별세하였고, 둘 사이에 아들이 하나 있었으나 어려서 죽었고, 조카(손완혁)를 양자로 삼아 말년을 보내다가 1963년 10월 5일 79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
목록
Load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