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교 인물 DB 남궁억(南宮檍, 1863. 12. 27~1939. 4. 5)


독립운동가. 호는 한서(翰西)

서울 왜송골(현 정동)에서 남궁영(南宮泳) 씨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본래 양반집 가문에서 태어났으나 불행하게도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덕수(德水)이씨인 홀어머니의 슬하에서 고생스럽게 자라났다. 용모가 준수하고 재질이 뛰어났던 그는 어깨너머로 공부를 시작하여 사서삼경을 통달하였고, 21세가 되던 1883년에 문중의 심한 반대를 무릅쓰고 관립 영어학원에 입학하였다. 이때 학생은 그와 송달현, 주우남, 단 셋뿐이었는데, 모두 도포를 입고 통량갓을 쓰고 앉아 공부하였고, 이듬해 그는 독일인 묄렌도르프의 견습생으로 들어갔다.

그가 벼슬살이를 시작한 것은 1886년이었다. 내부주사(內部主事)로 피임되어 어전 통역을 맡았고, 1887년에는 조민희가 이끄는 외국사절단의 일원으로 참여하여 통역과 서기관으로 일하였다. 1889년에는 궁내부 별군직(別軍職)에 임명되어 4년 동안 일하였고, 1893년에 경상도 칠곡의 부사(府使)로 취임하여 갑오년의 동학혁명과 청일전쟁을 임지에서 겪었다. 1895년 칠곡부사를 사임하고 내부 토목국장으로 들어온 그는, 종로통과 정동의 거리를 확장케 하였으며 탑골공원도 건설하였다. 1896년 단발령에 반발하여 의병들이 일어나자 정부는 이들을 무마하기 위해 그를 선유사(宣諭使)로 파견하였고 그는 어렵사리 임무를 마치고 돌아왔다.

그 무렵 그에게 일대 전환기가 다가왔다. 일본과 청국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는 나라를 구하기 위해 독립협회라는 단체가 생겨난 것이다. 이에 그는 벼슬을 떠나 1896년 독립협회에 들어가 수석 총무로 취임, 애국사상 고취에 헌신하였고, 1898년 나수연ㆍ장지연 등과 함께 〈황성신문〉을 창간, 초대 사장이 되었으며, 친러파의 숙청ㆍ러시아와 일본의 한국분할설 공박ㆍ러일협정의 부당성 지적 등으로 세 번의 옥고를 치르다가 1903년 부득이 사임했다.

한편 그는 독립협회 시절 윤치호의 전도로 남감리교 종교교회에 입교하였으며, 1903년 황성기독교청년회(YMCA)가 창설된 이래 열성회원이었고, 그 후로 기독청년회 이사, 위원 등으로 활약하면서 1913년에는 한국 YMCA 대표로 한\"일YMCA대표자협의회에 참석하기도 했다.

교육가로서도 활약했는데 그 계기는 이러하다. 1905년 성주목사로 임명받은 그는 을사보호조약을 맞아 큰 충격을 받고 이제 나라를 구할 길은 인재를 기르는 데 있다고 생각, 교육에 뜻을 둔 것이다. 1906년 양양군수로 부임하여 현산학원을 설립하였고, 1907년 반일단체 대한협회장에 취임했으며, 1908년에는 순한글로 된 〈교육월보〉를 창간했다. 1910년 한일합방이 되자 군수직에서 물러난 그는 그 해 배화학당 교사로 들어가 기독교 여성교육에 몸담았고 여성교육에 관한 책을 저술하기도 했다. 그는 역사교육과 진보적 여성교육에 중점을 두었는데, 영어를 가르치다가도 틈만 나면 한국역사를 가르쳤으며, 민족의식 고취를 위해 무궁화 꽃으로 삼천리 금수강산을 수놓는 지도를 수본(繡本)으로 만들어 수를 놓게 했으며, 태극기도 그렇게 수놓게 하였다. 또한 야간에는 상동청년학원에서 영어와 영문법을 가르쳤으며, 한때 상동청년학원 야간부 원장까지 맡기도 했다.

1918년 그는 건강이 극도로 악화되어 8년 동안 일해오던 학교를 떠나, 강원도 홍천군 서면 모곡으로 낙향하였다. 낙향할 때 지은 노래가 \"원산 석양 넘어가고 찬 이슬 올 때 …… 저 포수 너를 겨냥해\"로 시작되는 유명한 \"기러기 노래\"다. 이 노래 속의 기러기는 한민족을 뜻하고, 포수는 일제를 뜻하였다. 이런 처량한 마음으로 낙향한 그는 모곡에 와서도 쉴 수 없었다. 곧 자신의 사재를 털어 열 칸짜리 예배당을 세우는 한편 이 예배당에서 모곡학교를 시작, 청소년 교육과 전도에 전력을 다했다.

1922년, 봄 돌아와 밭 갈 때가 곧 온다는 조국의 찬가를 불러 민중에게 새로운 소망을 불러일으키니, 곧 저 유명한 찬송가 371장 \"삼천리반도 금수강산\"이다. 일제가 애국성이 농후하다 하여 부르지 못하도록 금한 제1호 찬송가였다. 1923년에는 춘천 주재 남감리교 선교사 스톡스 목사의 도움을 받아 모곡학교 교실과 기숙사를 건축, 원근 젊은이들을 모아 애국교육을 시켰다. 1924년에는 단군 조선부터 3.1운동까지의 역사를 기록한 《동사략》(東史略)이라는 역사책 4권을 저술하였고, 1929년에는 동화체로 사화를 기록한 《조선이야기》(전5권)를 저술했는데, 이는 선인들의 모화(慕華)사상을 일깨워 자주정신을 길러주기 위한 책이다. 이 외에도 《조선어보충》, 《조선어문법》 등을 저술하였다.

한편 그는 학교 실습지에 학생들과 같이 무궁화 묘목 밭을 만들고 가꾸면서, 학교 운영비를 마련한다는 구실을 삼아, 해마다 수십만 주의 묘목을 전국 기독교학교와 교회, 기독교단체, 가정 등에 분배하였다. 이른바 \"무궁화동산꾸미기운동\"을 시작한 것이다. 또한 \"…… 특별하다 무궁화는 자랑할 말 하도 많다. 여름 가을 지나도록 무궁무진 꽃이 핀다. 그 씨 번식하는 것은 씨 심어서 될 뿐더러 접붙여도 살 수 있고 꺾꽂아도 성하도다……\"라는 \"무궁화동산\" 노래를 지어, 학생들의 가슴에 우리 역사의 강함과 소중함을 일깨웠다.

그의 낙향 이후 예정에도 없던 주재소를 모곡에 설치하고 모든 활동을 감시하던 일제는, 학생들이 부르는 \"무궁화동산\" 노래를 듣고 그 출처를 조사하다, 보통학교 과목에도 없는 국사교육을 한 사실과 춘천 십자가당 사건에도 관여되어 있음을 알아내어, 1933년 11월 4일 그를 비롯하여 유자훈 목사와 교사 이기섭, 이병구, 김복동, 남궁경숙 등을 구속하였다.

그는 보안법 위반으로 기소되어 옥고를 치르다 1934년 7월 1일 옥중에서 얻은 병으로 보석된 후, 오로지 교회사업만을 위해 힘쓰다가 1939년 4월 5일, 77세를 일기로 학생들에게 \"내가 죽거든 무덤을 만들지 말고 과목이나 무궁화나무 밑에 묻어 거름이 되게 하라\"고 유언한 후 눈을 감았다.

애국의 길을 가는 동안 수많은 고난과 옥고를 치르면서도 끝까지 지조를 지켰던 선생의 유해는, 새벽마다 올라가 조국을 위해 기도하던 모곡학교 뒤편 유리봉에 묻혔다. 1977년 독립유공자 추가 보상자로 선정되었다.

-저서:《가정교육》, 1918;《동사략》(東史略》(전4권), 1924;《조선이야기》(전5권), 1929;《조선어보충》;《조선어문법》.

-참고문헌:김세한, 《한서 남궁억 선생의 생애》, 한서남궁억선생기념사업회, 1960;현재호 엮음, 《삼천리반도 금수강산 하나님 주신 동산》, 기독교대한감리회 한서기념사업회, 1997.
목록
Loading now...